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한국 문학 속 ‘집’의 의미: 공간이 담은 정체성과 기억

by 한국문학사전 2025. 7. 16.

문학 속에서 ‘집’은 단순한 거주 공간을 넘어, 인물의 정체성, 가족 관계, 사회 구조를 드러내는 중요한 상징으로 작동합니다. 한국 문학 속 집의 묘사는 시대의 변화, 계층의 이동, 심리적 갈등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으로 사용되어 왔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주요 작품 속 ‘집’이 어떻게 그려지고,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분석해 보겠습니다.

문학 속 '집'이 가지는 상징적 의미

  • 정체성의 거울 – 인물의 사회적 위치, 과거 경험, 심리를 비추는 공간
  • 기억의 장소 – 성장, 상처, 회상, 추억이 응축된 상징적 배경
  • 가족의 축소판 – 관계의 충돌, 소외, 유대가 드러나는 무대
  • 사회 구조의 반영 – 계급 차이, 주거 환경의 격차, 부동산 문제를 은유

한국 문학 속 '집'의 대표 사례

1. 『엄마를 부탁해』 – 신경숙

소설의 핵심 배경은 사라진 엄마가 머물던 ‘집’의 빈자리입니다. 가족 구성원 각자의 기억 속 집은 동일하지 않으며, 이를 통해 인물 간 거리감과 상실의 감정을 보여줍니다. 집은 곧 엄마 그 자체이자, 잃어버린 관계를 상징합니다.

2. 『소설가 구보씨의 일일』 – 박태원

구보는 집에서 나와 도시를 떠돌지만, 결국 돌아갈 ‘집’이라는 장소가 존재함으로써 자아의 안식처와 현실의 경계를 오가게 됩니다. 1930년대 경성이라는 도시 공간과 집의 대비가 시적인 긴장을 만들어냅니다.

3. 『완득이』 – 김려령

단칸방, 외국인 노동자 어머니, 학교라는 외부 공간과 대비되는 집은 가난과 정체성의 상징이 됩니다. 그러나 동시에 그 집은 완득이가 변화하고 성장하는 출발점이자 정서적 근거지로 기능합니다.

4. 『바늘』 – 김혜진

딸과 엄마가 같은 공간에서 살지만 서로의 내면에 닿지 못하는 이야기. 하나의 공간 안에서 발생하는 거리감과 단절이 잘 드러난 작품으로, 집이 더 이상 따뜻한 공간이 아님을 보여줍니다.

5. 『그 남자네 집』 – 박완서

박완서의 단편에서는 부동산, 계층 상승, 주거 환경의 질이 삶의 만족도와 연결되어 표현됩니다. '집'은 곧 인간의 욕망과 이상을 투영하는 사회적 거울입니다.

'집'을 통해 드러나는 문학적 메시지

‘집’이라는 공간은 문학 속에서 끊임없이 해체되고 재구성되며, 그 안에 담긴 삶의 무게, 시대정신, 개인의 고독을 함께 전달합니다. 특히 한국 사회에서는 주거 공간이 곧 계급과 직결되기 때문에, ‘집’은 단순한 무대가 아닌 하나의 인물로 읽히기도 합니다.

오늘날 문학에서 ‘집’은 물리적 공간 이상의 관계와 기억의 상징으로 기능하며, 독자에게 자기 자신의 공간을 되돌아보게 만드는 촉매가 됩니다.


📌 마무리하며

한국 문학 속 공간과 집의 의미는 단순한 배경이 아니라, 인물의 내면과 사회 구조를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내는 장치입니다.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공간 역시, 언젠가 누군가의 이야기 속 '집'이 될지도 모릅니다. 문학은 결국 ‘공간’ 위에 써 내려간 정체성과 기억의 기록이니까요.